Paper/Generation

Only a Matter of Style: Age Transformation Using a Style-Based Regression Model

침닦는수건 2024. 7. 24. 15:09
반응형

내 맘대로 Introduction

 

2020년 StyleFlow 에서 styleGAN latent space를 잘만 컨트롤하면 원하는 condition을 넣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이후, 2021년 이 가능성을 aging condition으로 특화한 논문이다. 

 

StyleFlow는 z->w 과정에서 condition을 주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므로, 시작이 random gaussian noise다. 따라서 condition만 만족하고 나머지는 랜덤이다. 얼굴이나 스타일 안경, 이런건 랜덤 생성이다.

 

이 SAM 이라는 논문은 image->w로 가는 네트워크를 학습한다. 따라서 image + condition -> w를 학습해서 image 특성은 유지하되 condition이 추가된 이미지를 생성해내도록 했다. 여기서 condition은 age로 한정했고.

 

모든 GAN 논문이 latent z에서 시작했다가 image to z를 거치는 자연스러운 순서가 여기에서도 드러난다. 

 

메모

핵심은 간단하고 나머지는 pre-trained network들을 갖다붙였다. 

핵심은 styleflow에서 핵심으로 사용했던 Microsoft face api attribute, a와 이미지를 입력으로 받아 residual w를 찾아내는 Encoder를 학습하는 것

이 encoder다 image to w를 담당하는 본체

다만 scratch부터 학습하면 효율이 떨어지니 pixel2style2pixel encoder(이것도 비슷한 목적의 image to w 네트워크인데, 이 저자의 이전작임) 를 갖다붙인 후 residual을 계산하도록 했다. 

생성된 이미지가 원하는 이미지가 맞는지 비교하면 되는데, 이때 GT가 없으므로, cyclir 하게 loss를 구성했다.
-> 15 살 -> 85살 -> 15살 돌아왔을 때 제 이미지랑 동일한지 확인.

face attribute 중 나이만 사용했고 5~100살 범위 내에서만 사용했다.

이미지 뒤에 H, W 맞춰서 concat해줘서 HW4 형태로 입력되게.

수식(5)와 같이 생성 완료된 이미지에 직접 걸어줄 SUPERVISION이 없으므로

한번 더 입력 이미지 나이로 변환해서 CYCLIC 비교.

네트워크 구조는 p2s2p 네트워크랑 거의 동일한 FPN 구조 CNN갖다 붙여서 사용함.

수식(7)은 좀 난해한데, 나이 변경 전 과 후 이미지 pixel 비교를 한다. 이건 identity 유지 강화를 위해 약간 perceptual한 loss인 듯

수식(8)은 perceptual loss.


identity 유지를 위해서 face recognition 네트워크 통과했을 때 feature가 비슷한지 loss

face api 써서 생성된 이미지 나이 뽑아봤을 때, 생성에 사용된 나이랑 같은지 los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