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how/Linux 8

원격 서버에 있는 폴더 mount 하기

원격 서버에 있는 폴더로부터 파일을 받거나, 폴더로 파일을 올리는 경우 터미널을 통해 하면 귀찮을 때가 많다. 특히 커맨드 실수했다간 파일을 통째로 날려먹을 일도 생길 수 있으니 개인적으로 파일 올리고 내리는 것은 GUI로 보고 drag and drop, copy and paste하는게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SSD를 ubuntu에 마운트하듯이 ssh로 붙는 원격 서버의 폴더를 로컬 PC에 마운트할 수도 있는데 그 방법을 정리한다. 아주 간단하다. 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sshfs # file system sshfs를 설치해둔 뒤, 다음 커맨드 한 방이면 끝난다. sshfs -p PORT_NUMBER USER@xxx.xxx.xx:SERVER_FOLDER_PATH LOCAL..

Knowhow/Linux 2024.05.24

ssh 원격 연결 후 파일 올리기/가져오기

ssh로 서버에 붙은 이후에 파일을 올리고 내릴 일이 많다. 서버에서 데이터를 꺼내서 보는 경우도 많고 실험용 데이터를 올리는 일도 많다. 이 때 scp를 이용하면 아주 간단하게 파일을 올리고 내릴 수 있는데 명령어를 맨날 헷갈려서 기록해둔다. 파일 올리기 scp -P [포트번호] -r [local경로, 상대경로 가능] SERVER_ID@SERVER_IP:[원격 경로, 절대경로로] 예시 scp -r /home/jseob/Desktop/data remote@xx.xx.xx:/home/data -r 을 추가하면 recursive하게 동작하므로 폴더 단위를 올릴 수 있고, 파일 1개일 경우 -r 빼면 된다. 중간에 띄어쓰기와 :을 잊지 말자 파일 가져오기 scp -P [포트번호] -r SERVER_ID@SER..

Knowhow/Linux 2024.04.17

ubuntu 간 ssh 원격 연결하기

원격 업무 ubuntu PC로 본다면 사실 상 ssh는 필수다. 터미널만 있으면 작업이 가능한데다, vscode가 remote docker container에도 붙을 수 있기 때문에 GUI 작업도 ssh로 붙을 수만 있으면 ubuntu 원격은 쉽다. 그런데 매번 설정할 때마다 간단한 듯 하면서도 자잘한 오류나 삽질을 많이 해서 한 번 정리해두고자 한다. Server, Client 공통으로 할 일 ssh가 기본이니 ssh는 설치가 당연히 되어있어야 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sh sudo service ssh start service ssh status 아래와 같이 active (running) 상태로 보이면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동작하고 있는 것이다. Issue 간..

Knowhow/Linux 2024.02.14

Linux에서 원하는 파일 찾기

find . -name "FILE_NAME" -type f find . -name "DIRECTORY_NAME -type d find . -empty find . -name "FILE_NAME" -delete Linux에서 파일 경로 찾는 일이 생각보다 빈번한데 root 위치에서 find 커맨드를 이용하면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자주쓰는 flag는 다음과 같다. -name : 이름을 적으면 된다. prefix* 혹은 *postfix 형태로 전체 찾기가 유용하다. -type : d는 디렉토리, f는 파일을 의미한다. 찾고자 하는 대상 타입에 따라 지정해두면 리스트를 줄일 수 있다. -empty : 정리하는 과정에서 비어있는 디렉토리나 파일을 찾기 쉽다. -delete : 앞선 조건에 맞는 파일들을 직접 지..

Knowhow/Linux 2024.01.29

Disk usage analyzer

ubuntu는 디스크 사용량이 100% 꽉 차면 부팅이 안되거나 무한 부팅 문제에 걸리는 OS인 만큼 용량 관리를 종종 해주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ubuntu에는 disk usage analyzer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어떤 파일이 용량을 많이 먹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용이하고 바로 삭제할 수도 있어서 좋다. 실제로 사용 중인 파일들이 용량을 주로 차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간혹 .cache 폴더가 100~200GB 씩 잡아먹고 있을 때가 있다. 특히 그런 경우 .cache/JetBrains 나 .cache/pip 등 수십 GB를 먹는 일이 잦다. 내 경험 상 Pycharm을 사용할 때 이미 열려있는 폴더를 또 열려고 시도할 때 pycharm이 먹통이 되어버리는 버그가 있는데, 이 때마..

Knowhow/Linux 2024.01.19

Ubuntu terminal 분할해서 사용하기

Ubuntu에서 작업하면 전부 다 터미널을 사용하게 되는데, 매 작업마다 새로운 터미널을 쓰면 관리가 힘들다. 여러 개의 터미널을 쓰는 건 동일하지만 터미널끼리 붙어있기만 해도 보기가 편한데 이 때 딱 좋은 프로그램이 있다. 이름이 거창하게 터미네이터(Terminator) (ㅋㅋ)인데 설치도 쉽고 사용도 쉽다. 설치 sudo apt-get install terminator 완료되면 새 터미널 열 때부터 자동 적용된다. 사용법 터미널 위아래로 쪼개기 : Ctrl + Shift + O 터미널 좌우로 쪼개기 : Ctrl + Shift + E 터미널 넘나들기 : Ctrl + Tab 현재 터미널만 끄기 : Ctrl + Shift + W 주의 사항 터미널 좌우로 쪼개는 Ctrl + Shift + E 커맨드가 안 먹..

Knowhow/Linux 2023.09.07

Shell script 기본 사용법 정리

쉘 스크립트를 잘 사용하지 않았는데, 커맨드를 자동으로 넣어주도록 하는 작업이 꽤 빈번하게 필요해서 한 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복잡한 스크립트를 짜기 위함이라기보다 반복 실험이나 반복 실행처럼 단순 노가다성 작업이나 argument만 바뀔 뿐 커맨드는 같은 작업을 최소화하는 수준을 익히는데 초점을 두고 정리했다. 기본 세팅 shell script를 작성할 때, 기본적으로 첫줄에 #!/bin/bash를 적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shell script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작업을 해두어야 한다. 777은 읽고 쓰기 모두 부여하는 권한이므로 만약 write를 막아두고 싶다면 다른 숫자를 부여하면 된다. sudo chmod 777 YOUR_SCRIPT.sh 권한 번호 세자리는 파일 소유자/파일 그룹/다..

Knowhow/Linux 2023.08.07

Linux echo로 파일 처음/끝에 문장 추가하기

echo 커맨드를 많이 봐왔고 많이 써왔지만, 대부분 설치 과정에서 따라하라니까 사용했기 때문에 사용법에 대해서 잘 몰랐다. 여러 사용법이 당연히 있겠지만 그 중 echo를 이용해 파일에 문장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해두고자 한다. 그냥 파일 열고 손으로 적어도 그만이긴 하지만 최근 DockerFile을 작성하면서 커맨드 라인으로만 모든 작업을 진행해야 할 경우가 있었는데 알아두면 꽤 유용한 것 같다. 근데 자꾸 까먹어서 매번 검색하길래 적어둔다. 파일 끝에 추가하기 echo "ANYTHING" >> FILE_PATH 주의 점은 > 가 아닌 >>라는 점이다. > 쓰면 파일에 덮어쓰는 것이라서 원본이 날아간다. 꼭 >>로 써야 한다. 파일 처음에 추가하기 echo -e "ANYTHING\n$(cat ..

Knowhow/Linux 2023.03.23